반응형

안녕하세요. ^^
 
그리스 신화 속엔 사랑이 참 많습니다.
그런데 그 사랑이 꼭 행복으로 이어지는 건 아니더라고요.
오늘 소개해드릴 페드라 이야기도 그런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어쩌면 우리가 잘 아는 '로맨스'와는 많이 다르지만, 그만큼 진한 감정을 느낄 수 있었던 이야기였어요.

 
 
페드라는 미노스 왕과 파시파에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 유명한 미노타우로스의 이복 누이이기도 합니다.
그녀는 테세우스와 결혼하게 되지만, 마음은 테세우스의 아들 히폴리토스를 향하게 되죠.
물론 히폴리토스는 페드라의 친아들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아들에게 연정을 품은 여인'**이라는 설정은 읽는 내내 마음이 불편하고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히폴리토스는 순결과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를 따르며, 사랑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 인물이었어요.
그러다 보니 페드라의 마음은 일방적으로 불타오르게 되고, 점점 더 억누르기 어려워집니다.

결국 그녀는 자신의 마음을 숨기지 못하고 드러내지만, 히폴리토스는 그 사랑을 거절하죠.
이 장면에서 저는 페드라가 한편으론 너무 안타깝기도 했습니다.
상대의 거절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점점 파국으로 치닫는 모습을 보면서,
사랑이라는 감정이 얼마나 사람을 강하게도, 약하게도 만들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되었거든요.
거절당한 페드라는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데요.
히폴리토스가 자신을 모욕했다고 테세우스에게 거짓을 말하고, 그로 인해 테세우스는 아들을 저주합니다.
그리고 그 저주는 결국 히폴리토스를 죽음으로 몰고 가죠.
모든 진실이 드러난 후, 페드라 역시 자신의 잘못을 이기지 못하고 스스로 생을 마감합니다.
결국 사랑 때문에 세 명의 인물이 모두 불행해진 셈입니다.
이 이야기를 다 읽고 나면 마음 한켠이 참 씁쓸해지더라고요.
 
 
페드라 이야기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비극적 사랑' 그 자체입니다.
사랑은 분명 아름다운 감정이지만, 그 감정이 일방적이거나 금지되어 있을 때
그 끝은 이렇게 비참할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는 이야기였어요.
한편으론 인간의 감정이라는 게 얼마나 복잡하고, 때로는 그 감정이 이성을 삼켜버릴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장면들이기도 했고요.
페드라는 분명 잘못된 선택을 했지만, 그 안에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혼란'과 '고통'이 담겨 있다고 느껴졌습니다.


 
 
 
페드라가 넘 예쁘게 나와서 한번 영상화 해봤어요~ 보고 가셔요 :)

 
 
페드라 이야기
30편 : 비극적 욕망의 끝, 페드라의 사랑과 파멸 - https://nari572.tistory.com/m/119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
이번에는 ‘클레오파트라’ 이야기를 준비했어요!

클레오파트라를 모르는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거예요.
아름다움의 대명사처럼 회자되던 인물이지만,
이번에 내용을 정리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이 참 많았답니다.

 

 

우리는 흔히 클레오파트라를 ‘예쁜 여왕’으로만 알고 있지만,
사실 그녀는 뛰어난 외모뿐 아니라,
명석한 두뇌와 정치적 지략을 갖춘 리더였어요.당당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았고,
사랑에 솔직했던 인물이기도 하죠.

그녀의 삶은 결국 비극적인 죽음으로 끝났지만,
그 극적인 인생 때문에 지금까지도
잊을만 하면 다시 회자되는 인물이 되었네요.

 

 

 

 

이번에 클레오파트라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짧은 영상 이미지도 함께 만들어봤어요! 🎞️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듯한 느낌이라
저도 보면서 정말 신기했답니다!

📽️ 영상으로 함께 만나보세요.
그녀의 매력에 다시 한번 빠지실지도 몰라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
크세르쿠세스 1세에 대해 간략하게 이야기 해 봅니다^^
역사 속 인물 이야기를 보다 보면 괜히 마음이 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게 꼭 선한 인물만은 아니에요.
오히려 이런저런 욕망에 흔들리고, 결국 몰락하는 사람이 더 애잔하게 느껴질 때도 있거든요.
오늘은 그런 인물 중 하나, 페르시아의 왕 크세르크세스 1세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크세르크세스는 금수저도 이런 금수저가 없었습니다.
아버지는 강력한 황제 다리우스 1세였고, 어머니는 페르시아를 세운 키루스 대왕의 딸 아토사였으니까요.
이쯤 되면 왕위는 거의 정해진 수순이었겠죠.
실제로 그는 기원전 486년에 왕이 되어, 페르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어받았습니다.

처음에는 조용히 잘해나갔습니다.
아버지가 다져놓은 탄탄한 행정력과 군사력을 물려받아 안정적인 통치를 했으니까요.
그런데 여기서 끝나면 크세르크세스가 아니지요.
그의 마음 한편에는 부왕이 이루지 못한 ‘그리스 정복’이라는 큰 야망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아버지의 한도 풀고, 자신도 역사에 이름을 남기고 싶었겠지요.



그래서 기원전 480년, 무려 20만 명의 대군과 수많은 함대를 이끌고 제2차 그리스 원정을 감행합니다.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스파르타의 왕 레오니다스와 300명의 전사들이 버티는 장면은 영화 <300>으로도 유명하지요.
당시만 해도 수적으로 우세한 페르시아군이 이기는 듯했지만, 살라미스 해전에서 예상치 못한 대패를 당하며 결국 본국으로 철수하고 맙니다.

이후 크세르크세스는 궁전이나 지으며 시간을 보내다가 결국 시종에게 암살당합니다.
참 허무하죠. 그렇게 거대한 제국을 거느렸던 왕이 이렇게 끝나다니 말이에요.

사람들은 종종 크세르크세스를 오만하고 잔인한 독재자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저는 꼭 그렇게만 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야망이 있고, 시대가 요구하는 기대에 눌리며 살아가는 게 인생이니까요.
그는 어쩌면 지나치게 큰 욕망에 휘둘렸던, 인간적인 왕이 아니었을까요.

 

 

 

 

그래서 이번에 크세르크세스 1세로
간단한 동영상을 만들어봤답니다 ㅎㅎㅎㅎ

영광과 몰락, 인간의 욕망이 교차했던 크세르크세스의 삶, 여러분은 어떻게 보셨나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방갑습니다. 나리 입니다!!
첨으로 인사를 제대로 드리는거 같아요^^ 브끄…

제가 역사 이야기, 신화이야기, 옛날 이야기! ㅎㅎ
넘~ 나 좋아한답니다!
저처럼 이야기 좋아 하시는 분들이 봐주시는거 겠죠?! 암튼 넘!!! 나 감사하고 반갑습니다!!

어쩌다보니 이야기 꾼이 되어버렸네요!? 지금 생각해보니^^

역사와 신화가 섞여서 신비로운 이야기들이 너무 흥미있고 재미있는거 같아서 연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한거번에 몰아서 만들어서 조금 피로감이 있지만 엄청 재미있답니다! 야호~!! 아이신나!
저능 보고 또 보고 있어요~내가 만들어 놓고 혼자 재밌다고 난리 난리~ ㅎㅎㅎㅎ

앞으로 독자님들이 조금 더 늘오난다면?!
피로감?!이 뭐야! 뭐야! 하면서 아주 아주 더 신나게 작업 할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역사와 신화 이야기를 다루면서 각종 이미지를 함께 만드는데 좀 힘들더라구요!?!
하지만 멋지게 예쁘게 몽환적으로! 만들다보니 넘~ 나 재미있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너무 재밌게 만들었답니다~ 꺄^^

 
아직 블로그 만든지 얼마 안되기도 했지만
아직은 방문하시는 분이 몇 안계셔서요  ㅠㅠ
그래도 찾아주시는 그 몇분들 소소한 이야기 이지만 알리고 싶은 마음에  요래요래 작은 방한켠 마련해봤습니다. 

이미지를 만들면서 어쩌다 너무 잘 뽑아진 인물들이 멋지고 예뻐서 이미지로만 남기기가 너무 아쉽더라구요
오늘 공개된 람세스2세를 예를 들어볼까해요^^
람세스 2세가 미남? 이었을까요?! 그것은 아무도 모르죠 ㅎㅎㅎ
 
그런데 제 블로그 람세스 2세는 초초초! 초미남입니당ㅋ(지극히 개인적인;ㅋ)
인물 한 번 보시지요^^

람세스 2세 (꺅!! 오빠! 잘생기면 다 오빠 ㅎㅎㅎ)

 
 

 
위 짧디 짧은 동영상은 런웨이 AI 로 만들어봤습니다.
(무료 크레딧 150 정도 줬던거 같은데.. 진짜 조금 줌 ㅠㅠ 나중에 유료 이용해야겄어요!)


캣컷으로도 만들어봤어요^^

ㄲ ㅑ~  배경음 넣어주니 남성미 보소!! 어머어머ㅎㅎ
넘나 잘생기게 뽑아진 오빠.. 아니 남성은 요래 동영상화 해서 눈요기 같이 해볼까 해서 요래 요래 보여드리고 있습죠🤭
그리고 나름 스토리 있는 사람들이니 뭔가 마음이 가는거 같습니다^^
 
요래 재밌게 글 이미지 남기고 조만간 또 멋진 영상 만들어서 보여드릴께요~
앞으로도 관심있게 지켜봐주시면 좋겠습니다!
 
관심은 블로그를 버텨내고 만들어내는 힘!! 입니다^^
지금 이 글 읽어봐주시는 님들 넘나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